낙동정맥 OBD 2020. 11. 4. 14:44
낙동정맥(블야) 15-1구간 사관령 등산 후기 나동정맥(블야)15-1-2-4 구간은 사관령에서 배실재 지나 침곡산 까지 구획되었습니다. 침곡산에서 하산해서 자차 회수 하기위해 차량 예약한 후 성법령에 출발 합니다. 성법령에서 사관령까지는 실제거리 3.1km입니다.따라서 계속 진행하면 능선 따라서 길도 좋고 쉽게 완주 가능한 코스입니다. 산행 하는날 하필 갑자기 강풍 주의보에 체감온도 영하인 날씨에 사관령에서 철수 합니다. 왕복 6.2Km를 주파하며 꼴랑 사관령 한곳 찍고 온 등산이 된 후기입니다. 그래도 이 구간 탐사를 하며 이지역 특색과 오지에 가까운 산골을 둘러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성법령은 기북로 최 정상 지점으로 보입니다. 너른 주차장이 확보 되어있으며 성법령이라는 이름을 붙인 정자 쉼터도 있..
등산상식-산악회 OBD 2020. 11. 4. 11:21
트랭글 등산앱 먼저 등산 한 트랙 궤적 따라가기트랭글은 많은 등산인들이 사용하는 등산 앱입니다.단순하게 자기 등산 궤적을 남기고 등산 시간을 속도로 알려 주는 등의 기능 외에 혼산을 즐기는 분들에게는 필수 기능인 따라가기를 알아 봅니다. 사실 초행인 오지의 산을 선행자 없이 최적의 등산로를 따라 간다는 것은 모험에 가깝습니다. 대부분의 산은 일단 산에 진입하면 등산로가 훤하게 보이고 이정표도 적당한 곳에 있지만, 산에 완전히 꽃혀서 안 가본 산을 탐험 하다시피 하는 도전자 산인들 에게 는 생소한 등산로의 이정표도 없고 오솔길도 흔적 하나 없는 산을 헤매는 일은 흔히 격는 경험 일 것입니다. 산에 완전히 꽃혀서 혼산 하는 분 치고 크게는 몇 Km 적게는 수 m 정도 알바 한번 안한 사람 있을까요? 때로는 ..
한국의명산-100대명산 OBD 2020. 11. 1. 18:02
블랙야크 100대 명산 챌린지 괴산 칠보산 등산후기 100대 명산(블야) 도전 인증산 칠보산(七寶山)은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에 있는 산입니다. 계곡이 유명한 쌍곡 구곡을 내포하며 맞은편에 군자산을 두고 있습니다. 한자로 七寶山이며 글자 그대로 일곱 개의 봉오리가 보석처럼 빛나는 산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산 이름이라고 합니다. 오래전에는 칠봉산이었다고 하니까 더 디테일 한 산 이름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칠보산이 유명한 것은 쌍곡과 각연사와 통일대사탑비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각연사는 칠보산 각연사가 아니며 보배산 개산사입니다. 칠보산 등산 코스는 일반적으로 떡바위 쌍곡 계곡으로 이어지는 등로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만, 최근 혼산족이 많아지면서 간편 최단 거리로 원점 회귀하는 각연사 코스가 각광받..
낙동정맥 OBD 2020. 10. 28. 13:58
낙동정맥 16-2구간(블야) 운주산 등산 후기 구름도 머물어 쉬는 운주산(雲住山-雲柱山)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이 남으로 구봉산에서 갈라져 해발 1000m가 넘는 산군들로 줄기차게 달리다가 영천에서 잠시 지기를 뭉친 태산 운주산(雲住山, 806m)입니다. 나는 역으로 부산의 몰운대를 출발해서 수많은 산군들의 뭉침과 헤어짐을 바라보며 구릉을 지나고 강을 건너서 불래재 표지목을 잠시 음미하며 영천땅을 지나지만 아직은 가까스로 영천과 포항땅의 경게를 들고 납니다. 이 아름다운 가을 황금빛 들판의 풍성한 나락 논 가운데 꿈틀 거리는 우렁찬 콤바인 소릴 들으며 가천 남계길을 지납니다. 사과가 한창 익어서 가을 햇살 아래 예쁘게 붉은 사과들이 부러질 듯 지탱하는 가지 끝에 많이도 달려있는 밭 사이를 지납니다. 하안국..
낙동정맥 OBD 2020. 10. 18. 07:50
낙동정맥(블야)17구간 삼성산제단석-도덕산 갈림길 낙동정맥 북상 중 영천 구간을 벗어 납니다. 블야 낙동정맥 17-2구간 17-1구간 즉 삼성산 제단석에서 도덕산 길림길로 이어지는 영천 구간을 마무리하며 두 지점 후기를 남깁니다. 먼저 삼성산 제단석 가는 길을 요약하면 안강 휴게소에서 지척에 있는 지점인데 의외로 들 머리에서 알바를 했습니다. 아래 트랭글 궤적처럼 안강 휴게소 뒤편 들 머리를 들어가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앱으로 보고 따라가다 보면 처음 갈림길에서 도 상 방향으로 가면 어느 분의 산소가 나옵니다. 산소 앞에서 또 갈림길이 나옵니다. 이 3 지점 동히 길 상태는 좋아서 등로 보고 판단 하기는 곤란합니다. 등산 시그널은 3곳 모두 어떤 종류도 붙어 있는 것은 없습니다. 앱 지도를 확대해서 몇 분..
낙동정맥 OBD 2020. 10. 14. 14:34
낙동정맥 18-1,2,3,구간(블야) 찍었습니다.부산 몰운대를 출발해서 낙동정맥 줄기따라 북상하며 영천 경주 구간을 맵 돌고 있습니다. 산 능선을 걸어가면 경주와 영천이 행정 구역 경계를 이루는 곳이 더러 있지요. 그래서 경주 지나서 영천으로 들어서는 개념이 잘 안됩니다. 지난번에 만불산, 관산을 지나서 북상해야 하지만 지정적으로 북상(北上)은 아니고 이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인증점 3개를 포함하고 있는 18구간 18-1 18-2 18-3 지점을 산행했습니다. 세 지점 다 고만 고만 한 산 높이로서 크게 힘든 산은 아니었습니다. 전체적으로 길은 좋지만 남사봉과 어림산 깔닥 고개의 경사로 마사토 길은 좀 미끄러운 구간이 잠깐 있긴 합니다. 아래 지도는 관산 까지 그렸지만 남사봉에서 마치재로 하산 했습니..
낙동정맥 OBD 2020. 10. 12. 12:00
BAC 챌린지 낙동정맥 19-1 관산 최단거리 등산후기 낙동정맥이 영천 경주 지역을 통과하는 산군들의 남하하는 산맥 허리에 좀 약한 듯 한 남사봉을 지나서 관산을 만나며 다음 만불산을 통과 합니다. 관산은 해발 높이에 비해서 좀 까칠한 위치에 있는 산입니다. 낙동정맥을 타고 상행 하든 하행하든 상당히 긴 구간의 중간쯤에 있어서 말입니다. 만불산과 관산 중간 고개에서 관산을 가다가 관산 바로 아래 계곡에서 GPS도 안터지는 오후 길을 잃어서 돌아 온 때가 있는 곳입니다. 이번에 심곡로를 타고 가다가 도리에서 오래되어 연못이 없어진 공터 감탄지에서 막바로 치고 올랐습니다. 오래된 나무꾼 길이 있었지만 현재 등산로는 뚜렷하진 않습니다. 등산지도에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긴 하지만 정확하진 않네요. 몇번 헤매었지..
낙동정맥 OBD 2020. 10. 11. 20:54
블랙야크 챌린지 낙동정맥 19-2 만불산 등산후기 만불산은 해발 275.4m로서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낙동정맥이 남하하며 영천 경주 지역을 통과는 산맥의 흐름을 이어 주는 중요한 산입니다. 위로는 어림산(510m)-관산(393.6m)을 거쳐-만불산(275m)-비슬시맥이 분기하는 사룡산-당고개 지 고만 고만한 산들이 이어지다가 남부지역으로 들어서면서 갑자기 해발 높이가 솟구치며 -백운산(892m)-고현산(1034m)을 지나고 영남 땅으로 들어 섭니다. 만불산은 산 이름이 점지 했는지 부처가 만불이 넘을 만큼 많이 모셔저있는 만불사 대 가람과 본 경내 높은 산 위의 아미타 대불은 영천의 명소이며 전국적으로 유명한 곳입니다. 만불산은 만불사 경내 숲길의 끝에 위치해 있습니다. 하지만 만불산의 공식적 등산로..